728x90
728x90
손, 발, 입안에 물집이 생기는 병!
'수족구병'이란?
수족구병은 이름 그대로 손, 발 그리고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병이다. 미국인도 수족구병을 ‘Hand-foot-and mouth’ 병이라고 부르고 있다. 병명 그대로 손, 발, 입안에 물집이 생기고, 일반적으로 열을 동반한 감기 증상이 함께 동반해 나타난다고 한다. 입안에 생기는 물집으로 인해 헐어서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아이들이 많다. 심하더라도 먹는 것만 그런대로 먹을 수 있고 소아과 의사의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일주일정도면 대개 별문제 없이 상태가 호전된다. 아주 드물게 뇌막염이나 심장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미리 막을 수는 없다.
수족구병 원인은?
수족구병은 콕삭키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대개 Coxsackievirus A16이라는 바이러스가 수족구 병을 일으키지만 엔테로바이러스 71이나 기타 여러 종류의 다른 바이러스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한번 걸렸다고 수족구병에 다시 안 걸리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작년에 수족구에 걸렸는데 또 걸렸다고 억울해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수족구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서 수족구의 증상이 심할 수도 약할 수도 있다. 참고로 엔테로바이러스 71 같은 바이러스가 수족구를 일으키면 뇌막염 같은 심한 합병증이 더 잘 생긴다. 수족구는 접촉에 의해서 전염이 된다. 공기로 전염되기도 하지만 대개의 경우는 감기와 마찬가지로 아이들의 손과 입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가게 된다. 장난감을 통해서 옮기도 하고 다른 아이가 방바닥에 흘린 침을 손에 묻혀 입에 가져가도 걸릴 수 있다.
수족구병은 아무리 노력해도 100% 막기 힘든 병으로 동생에게 옮기지 않으려고 수족구에 걸린 아이를 다른 집에 보내는 부모도 있는데 별 소용이 없다. 수족구는 물집이 잡히기 이틀 전부터 이미 전염이 되는데 물집이 잡힌 후 일주일 후부터는 전염성이 떨어지지만 수주일 간은 전염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발병 1주일간은 전염을 줄이기 위해서 유치원을 쉬게 합니다. 일단 전염이 되면 4~6일 정도 지난 후에 수족구병에 걸리게 된다. 주로 6개월에서 4세 사이의 아이들이 잘 걸리는데 아주 드물게 부모와 아이가 같이 수족구병에 걸리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엄마가 걸릴까 봐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큰 아이가 걸리면 동생도 수족구에 걸릴 정도로 전염성이 강해 유치원 같은 곳에서 한 명이 걸리면 다른 아이들도 쉽게 걸릴 수 있다. 하지만 전염병이지만 열나는 감기와 마찬가지로 심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이다.
아주 드물게 사망하는 경우도 있지만 워낙 드물기 때문에 미리 걱정하는 것보다 수족구병 증상이 나타나 걸린 거 같으면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수족구병 증상은?
수족구병은 이름 그대로 손과 발과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병으로 무릎이나 엉덩이에 물집이 잡히기도 한다. 열이 나는 것이 특징 중에 하나인데, 간혹 열은 별로 없고 손발이나 입안에 물집만 잡혀서 이게 수족구가 맞느냐고 물으러 오는 부모도 있다. 입안에 생기는 병변은 헐어서 아파서 잘 먹지 못하고 심한 경우 탈수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 입안이 헌것은 4~8㎜정도의 크기이며 손발의 물집은 3~7㎜정도 된다. 간혹 이 물집을 치료하기 위해서 터뜨리고 병원을 가기도 하는데 이 물집은 건드리지 말자. 그냥 두면 저절로 사라진다. 겁나게 보여도 연고를 발라서는 안된다. 대개 1주에서 10일 정도면 사라진다. 입안에 물집이 생겼다고 전부 수족구는 아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한 구내염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고 확인하는 것이 좋다.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은?
수족구병에 걸리면 3가지를 특히 주의해야 한다. 열이 많이 나는 경우 열성 경련을 주의하고 입이 아파서 잘 먹지 못하는 경우 탈수를 주의하고 드물게 수족구병의 원인이 바이러스가 같이 일으키는 뇌막염이나 심근염을 주의해야 한다.
1) 열성경련 주의하기
열이 많이 나는 경우 해열제를 사용하고 그래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옷을 벗기고 3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로 닦아주자. 해열제를 사용하면 열을 떨어뜨릴 수가 있고 해열제의 진통 효과로 입안이 아픈 것을 줄여줄 수 있다. 권장되는 해열제는 타이레놀과 부루펜으로, 단 6개월 이전의 아기는 부루펜을 사용하지 말자. 6개월이 지난 아기가 고열이 있는 경우는 부루펜을 조금 더 권장하는데 부루펜을 사용하면 타이레놀보다 해열제의 지속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자주 먹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2) 잘 먹이기
아이가 수족구병에 걸렸으면 잘 먹여야 한다. 하지만 아무리 부모가 잘 먹이려고 노력을 해도 입안이 아픈 아이가 잘 먹을 수는 없다. 잘 먹지 못하는 경우 부드럽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주는 것이 좋은데 씹어야 하는 음식을 먹기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따뜻한 음식보다는 찬 음식을 더 잘 먹을 수가 있다.
큰 아이가 설사 하지 않는다면 아이스크림이나 밀크셰이크나 셔벗나 빙수를 만들어 주어도 좋다. 찬물도 상관이 없다. 찬 것을 먹이면 입안에 얼얼해져 아픈 것도 좀 잊는다. 그래서 이 병을 어떤 의사들은 아이스크림 병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아이스크림은 탈수를 막는 효과와 통증을 줄이는 이중의 효과가 있다. 맵고 시고 자극적인 음식보다는 담백하고 음식이 좋다. 과일 주스를 먹이는 것도 좋은데 신맛이 나는 오렌지 주스 같은 것은 피하는 게 좋다.
3) 입 안 통증 줄여주기
우유병을 빨면 입안의 헌 곳에 부딪혀 아프기도 하고 빨 때 자극을 받아 힘들어 할 수 있으므로 분유나 물은 컵으로 주는 게 좋다. 그것도 싫어하면 숟가락으로 주어도 좋다. 만일 많이 아파서 잘 먹지 못하는 경우는 타이레놀이나 부루펜을 사용할 수 있다. 그래도 입이 아파하는 아이의 경우는 입안 병변 부위에 제산제를 발라주기를 권장하는 소아청소년과 의사도 있다. 찻숟가락으로 소금을 담아 입에 넣어주면 편해하는 아이들이 있다. 좀 큰 아이의 경우 양치하듯이 뱉게 해 주어도 된다. 실제로 심한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소아과 청소년과 의사의 처방이 있을 때만 사용하길 바란다.
병원 진료 시
만일 잘 먹지도 못한 아이가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는다면 바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만일 1세 이전의 아기가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거나 1세 이후의 아이가 12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는다면 밤중이라도 응급실로 가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만일 수족구병에 걸린 아이가 열이 3일 이상 가면 주의하여야 하는데, 열이 심하면서 머리를 아파하고 토하거나 목이 뻣뻣해지는 경우는 뇌막염이 동반된 것이 아닌가 반드시 소아과 의사에게 문의를 하여야 한다. 밤중이면 응급실로라도 가는 것이 좋다. 만일 수족구 바이러스에 의해서 뇌막염이 생긴 경우라면 대개의 경우는 소아과 의사의 치료를 적절히 받으면 시간이 지나면 별문제 없이 좋아진다. 하지만 간혹 다른 세균에 의한 뇌막염이 비슷한 모습으로 우연히 걸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필수적이다. 심장이 빨리 뛰거나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는 심장에 합병증이 생긴 경우일 수도 있으므로 바로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수족구에 걸려도 일단 아이가 열만 좀 떨어지고 먹을 수만 있으면 그렇게 큰 고생을 하지는 않는다. 그냥 두어도 별 탈 없이 좋아지지만 소아과 치료를 하면 아이가 좀 더 편하게 넘어갈 수가 있다. 수족구병에 걸려도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대개 1주일 정도 지나면 좋아지니 너무 걱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예방법
수족구를 예방하려면 수족구에 걸린 아이와 접촉을 하지 않아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100% 막을 수는 없다. 수족구가 돌 때는 가능하면 아이들이 많은 곳을 피하고 손발을 자주 씻고 세수 자주 하고 양치질을 열심히 하는 것이 좋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수족구에 걸린 아이와 같이 있게 되면 손을 잘 씻게 하고 손을 입에 넣지 못하게 하는 것이 좋다. 아이들이 화장실에서 일을 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게 하고 바닥과 아이들의 손이 닿는 탁자와 의자 등도 자주 닦아주고 같이 사용하는 장난감은 물로 자주 헹구어 주어야 한다. 가능하다면 아이가 입으로 물었거나 침을 묻힌 장난감을 다른 아이가 가지고 놀지 않게 주의를 하자. 그리고 수족구에 걸린 아이를 만진 어른이나 선생님은 다른 아이를 만질 때 손을 씻어야 전염을 줄일 수 있다. 아이의 기저귀를 갈거나 음식을 준비할 때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고 유아원같이 단체생활을 하는 곳에서는 천 기저귀보다는 좋은 종이 기저귀를 사용하는 것이 수족구병이 퍼지는 것을 막는데 조금은 더 좋을 수 있다.
간혹 수족구에 걸린 아이는 절대 유치원에 오지 못하게 했는데 수족구가 왜 계속 전염이 되는 것일까? 애석하게도 수족구라는 병은 물집이 잡히기 이틀 전부터, 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 수도 없는 시점에 이미 다른 아이들에게 수족구를 퍼뜨리기 때문에 쉽게 전염을 막을 수 없다. 그리고 물집이 잡힌 후 1주일간은 잘 옮기지만 그 이후에도 수주일 간은 전염이 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족구병 - 손, 발,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병 (아는 만큼 쉬워지는 육아 이야기, 하정훈)
@ Comments..
수족구병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이 수족구병은 아이에게만 걸리는 병이 아니다. 성인도 얼마든지 걸릴 수 있다. 실제로 나도 수족구병은 아이만 걸린다고 생각하고 수족구병에 걸린 우리 아이가 먹다 남은 음식을 먹었는데 며칠 뒤부터 손끝이 찌릿찌릿하더니 입안이 헐고 손에 작은 물집이 생기는 수족구병 증상이 나타났다. 설마 해서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았는데 역시나 수족구병이었다. 의사도 "보통 부모님들은 잘 안 걸리시는데 면역력이 많이 떨어지셨나 봅니다."라고 하며 걱정 말고 잘 먹고 잘 자고 약 잘 챙겨 먹으라고 했다. 내가 걸려보니 손끝이 찌릿한 것도 불편하지만 입안이 헐어서 음식 자체를 잘 먹을 수가 없었다. 성인인 나도 이 정도인데 아이들은 오죽할까... 이때 이후로 아이가 아플 때 먹던 음식은 아무리 많이 남아도 절대로 먹지 않는다. 병은 아이고 어른이고 할 것 없이 똑같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요즘 같은 때 철저히 개인위생에 신경 쓰며 우리 아이들도 잘 돌봐주도록 해야겠다.
728x90
728x90
'지식 & 정보 > 건강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시부펜 시럽 (덱시부프로펜) feat. 유소아 해열제 (0) | 2023.07.24 |
---|---|
아데노바이러스 (0) | 202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