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하다보면 "기업의 펀더멘털 에 입각하여 투자해야 된다." 라는 말을 종종 보게 된다. 중요한 얘기인거 같은데..
'펀더멘털' 이란 용어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자.
'가치 투자' 펀더멘털 !
펀더멘털 fundamental
; 경제 한 나라의 경제 상태를 나타내는 데 가장 기초적인 자료가 되는 주요한 거시 경제 지표. 성장률,
물가 상승률, 실업률, 경상 수지 따위가 있다.
규범정보
순화(연극 용어 및 언론 외래어 순화 고시 자료(문화관광부 고시 제2003-1호, 2003년 1월 8일))‘펀더멘털’ 대신 순화한 용어 ‘경제 기초 여건’, ‘기초 여건’만 쓰라고 되어 있다.
사전적 정의로는 "근본적인, 핵심적인, 필수적인"이라는 뜻으로, 주식 시장에서는 보통 어떠한 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 등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말한다. 결국 매출액, 영업이익과 그 기업의 주가는 비례하고 이는 곧 기업의 가치평가에 기본으로 이러한 기업의 펀더멘털을 보고 투자를 하면 성공률이 높다고 한다. (절대적인 것은 아님.)
가치 투자 개념의 펀더멘털과는 반대되는 개념의 투자로 모멘텀 투자가 있다.
'투자심리' 모멘텀 !
모멘텀 투자 momentum trading
; 경제 기업의 펀더멘털과 상관없이 장세의 상승 또는 하락에 대한 기술적 분석이나 시장 분위기의 변화에 따라 추격 매매를 하는 투자 방식이다.
주식 시장의 장세가 상승세냐 하락세냐 하는 기술적 분석과 시장 심리 및 분위기 변화에 따라 추격매매하는 투자 전략이다. 가치투자에서 중시하는 기업 펀더멘털과는 관계없이, 투자심리에 의해 주가가 결정된다. 모멘텀이란 주가의 추세를 전환시키는 재료, 해당 종목 주가가 변할 수 있는 근거를 말한다. 주가가 상승이나 하락할 큰 이유가 있는 경우, "상승 하락 모멘텀이 강하다"고 표현한다. 예를들어 흔히 기업의 가치와는 상관 없이 사회 전반적인 영향이 있는 CEO 의 말 한마디나 대선 관련주로 주가가 등락하는 분위기에 따라 투자하는 방식이 모멘텀 투자라고 할 수 있다.
@ Comments..
펀더멘털 투자와 메멘텀 투자 중 절대적인 수익률을 가져다 주는 정답은 없다. 주식 시장이라는 것이 내 마음 같지 않다는 것을 항상 상기하며 끊임없이 스터디를 해야 그나마 큰 손해 없이 조금이라도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게 잘 안되지만...그래도 노력하는 중이다. 열심히하면 다 수익률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지 않을까 ^^
'지식 & 정보 > 금융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I 지수 (feat. BSI, CSI) (0) | 2023.02.01 |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0) | 2023.01.30 |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스태그플레이션 (0) | 2023.01.11 |
퇴직연금 < DB 형, DC 형 > (1) | 2023.01.10 |
금융 용어 < 소호 , 여신 , 수신 > (0) |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