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 정보/모빌리티

하이패스 통신 방식 < RF vs IR > 비교

by 레오파파 2023. 1. 10.
728x90
728x90

 2006년 가을 부터 일부 수도권 요금소에서만 처음 시행했던 하이패스가 이제는 도로 톨게이트 요금소를 지날때 하이패스 없이는 너무나도 불편함을 느낀다. 요즘 등록되는 대부분의 차량들은 룸미러 일체형 하이패스가 기본으로 장착되어 출고되는데 하이패스가 도입되는 초반에만 해도 정말로 다양한 종류의 하이패스가 많은 홍보를 통하여 판매 되었었다. 나 또한 뒤쳐지지 않기 위해 새로운 문물(?)을 빠르게 접하는 편이여서 하이패스 도입 초반 이것 저것 많이 알아봤었다. 각설하고 내가 알아 본 하이패스 통신 방식에 따른 장단점을 정리해보았으니 룸미러 일체형의 순정 하이패스 기기를 제외한 별도의 하이패스 기기 구입시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RF  vs  IR

 

 

하이패스는 통신 방식에 따라 RF 방식 / IR 방식 으로 구분된다.

 

RF : Radio Frequency (주파수) 

  - 주파수를 이용한 광대역 통신 방식, 날씨와 같은 환경의 영향이 적어 안정성 높음.
  - 음성과 같은 부가기능을 연동 가능, 전송 속도 빠름.
  - 주파수가 퍼지는 곳 어디든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이패스를 비교적 자유롭게 위치 시킬 수 있습니다.
    (ex. 콘솔박스, 글로브박스, 암레스트박스 등)
  - 금속 코팅이 되어있는 썬팅 필름 부근에 위치했을 경우 주파수 수신율이 현저히 떨어짐.
  - 자신의 차량의 썬팅 필름 타입이 금속 재질이 아닌지 먼저 확인한 뒤 구매해야함.
  - 전류를 비교적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선 전원 공급 많이 사용.
  - 룸미러 하이패스 단밀기(자동차 제조사 순정형)대부분 RF 방식임.

룸미러 일체형 하이패스 -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하이패스의 다양한 정보도 함께 표시된다.

IR : Infra-red Radiation (적외선)

  - 적외선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방법. 
  - 근접 주파수 간섭 및 전자파 장애가 없지만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인식률이 떨어짐.
  - 대시보드나 전면 유리창 등 간섭이 없는 곳에 위치해야함.
  - 비교적 적은 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무선 배터리 타입이 많음.

 

 위 장단점을 보면 인테리어 측면이나 인식률 측면에서 RF 방식의 하이패스를 많이 선호하는 추세인 듯. 그리고 요즘에는 RF 방식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서 특수 코팅 처리된 썬팅필름도 많이 나오고 있다.

 

 통신 방식에 따른 장단점을 보았을때 확실히 RF 방식이 매력적이지만 각자의 차량 환경 조건에 따라 가장 알맞은 하이패스 단말기를 선택하여 보다 편리하게 요금소를 통과하자.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