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 정보/유식 해보이는 상식

< 아파트 구조 with 층간소음 >

by 레오파파 2023. 4. 13.
728x90
728x90

현재 6살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우리 아이는 집안에서 뒤꿈치를 들고 다닌다. 어릴 때부터 층간소음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나와 와이프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아무튼 아파트에서 태어나 쭉 아파트에서 자라고 아파트에서 살고 있으니 말 다했다. 물론 요즘 젊은 부모들은 아파트에 살면서도 어린 자녀들이 마음껏 자유롭게 뛰며 생활하기를 바라고, 아래층에 층간소음에 대한 피해를 주기 싫어 일부러 1층이나 필로티층, 비상대피층 위층을 선호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주상복합 아파트가 아닌 우리나라 대부분의 일반 아파트는 구조상 층간 소음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왜 그럴 수밖에 없는지 한번 알아보자.

 

대부분의 일반 아파트,
층간소음에 취약한 벽식 구조

<출처_조선일보-층간소음 기사>

아파트 구조에는 어떻게 바닥과 천장을 받치는 가에 따라 크게 '벽식 구조'' 기둥식 구조'로 나눌 수 있는데, 기둥식 구조가 국내 대부분 아파트에 적용하는 벽식 구조보다 차음 효과가 뛰어나다. 벽식은 층간 소음이 벽을 타고 그대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반면, 기둥식은 천장에 놓인 수평 보와 수직 기둥으로 소음이 분산되기 때문이다.

 

실제 국토부가 기둥식과 벽식의 층간 소음을 실험한 결과, 기둥식이 벽식보다 1.2배쯤 차단 효과가 높았다. 정부도 새로 짓는 아파트는 기둥식을 권유하고, 대부분의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들은 이 기둥식 구조로 짓는다.

 


벽식 구조를 선호하여 짓는 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공사비와 높이 제한 규제 때문이다. 기둥식은 일종의 수평 기둥인 '보'를 추가로 얹기 때문에 스프링클러 같은 소화시설이나 환기구를 설치하려면 추가 공간이 필요하다. 각 세대의 이런 추가 공간이 더 필요하고 이는 결국 전체 아파트 세대 수가 줄어드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벽식으로 2라인 30층(60세대)까지 지을 수 있다면 전체 추가 공간이 더 필요한 기둥식으로 하면 같은 높이로 2라인 25층(50세대)까지 지을 수밖에 없어 10세대나 분양에서 빠지게 된다. 시공하는 건설사 입장에서는 층간소음을 잡자고 안 그래도 공사비용이 많이 들어가는데 분양세대까지 적어지니 쉽게 선택할 수 없을 것이다.

 

 차음(소리를 막는)의 기본은 소리를 발생하는 구역과 소리를 듣게 되는 구역을 차단 역할 하는 부분, 즉 층간 소음의 차단역할을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인데 콘크리트 바닥을 두껍고 중량이 많이 나가게 만들면 중량 충격음의 확실한 차음 효과가 있다. 그래서 일반 벽식 구조 아파트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중량을 높이거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식으로 층간 소음을 줄이려고 한다. 실제로 각 아파트 브랜드 이름으로 특허 검색을 해봐도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특허 출원된 것을 볼 수 있는데 결국에는 방법의 차이일 뿐 대부분은 바닥 부분의 고중량화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뤄냈는가 인 것을 알 수 있다. (일부는 다양한 완충재를 적용하거나 구조를 다르게 하여 차음성능을 높인 바닥도 있었다.) 

 

그리고 신도시 아파트가 한창 지어질 당시 대규모로 빠르게 짓기에 유리한 벽식 구조가 일반화처럼 되어버려 2000년대 초반부터 최근까지 준공된 아파트의 95% 이상이 벽식 구조로 지어졌다고 한다. 최근에 고급화로 짓는 아파트는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바닥 두께를 더 두껍게 한다던지 아래층의 천정 부분을 보완한다던지 아니면 기둥식 구조를 적용하여 층간 소음을 줄이고자 하고 있다.

 

한 대형 건설사 임원은 "주거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원칙은 맞지만 그만큼 분양가격이 올라간다"며 "아파트를 '음향실험실' 수준으로 조용하게 만들지 않는 이상 주거 품질과 비용의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층간 소음을 줄이려면 제도적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 대학교의 교수는 "리모델링하는 노후 아파트는 층간 소음 차단 공사를 하면 용적률을 높여주는 식으로 인센티브를 줄 수 있다" 면서 "아파트 분양 당시부터 소비자들이 소음 차단 효과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주택성능등급표시제를 확대 실시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2006년 도입된 주택성능등급표시제는 층간 소음 차단 정도에 따라 아파트를 1~4등급으로 구분해 분양 때 공개하는 제도인데, 현재는 1000 가구 이상 단지에만 적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해외에서는?

해외에서는 국내와 달리 층간 소음 기준을 법제화해 강제하는 경우가 드물다. 기준이 있더라도 대부분 권고사항이며, 대부분 소음 문제를 거주자들의 생활 태도에 제재를 가하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일본은 바닥 중량충격음 최저 기준치가 60㏈이어서 국내(50㏈) 보다 덜 까다롭다. 또 등급 부여도 의무화된 것이 아니라, 건설사가 소비자에게 소음 관련 정보를 제공하려는 때에 한해 받을 수 있도록 돼 있다.

유럽 주요 국가들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따로 구분하지 않는다. 하나의 층간 소음 기준을 권고사항으로 둘 뿐이다. 오스트리아(43~ 50㏈)와 독일·노르웨이·핀란드(53㏈)가 엄격한 편이지만, 한국과 큰 차이가 없다.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등은 소음 기준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낮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양관섭 본부장은 "유럽이나 미국은 공동주택 비중이 크지도 않고, 신발을 신고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발소리 같은 중량충격음을 크게 의식하지 않는다""층간 소음 문제를 생활이나 문화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는 게 우리와 가장 큰 차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 공급자인 건설사에 규제를 하는 것과 달리 해외에서는 거주자에게 책임을 묻는 것도 차이점이다.

미국의 경우 층간 소음 민원이 발생해 관리사무소에서 몇 차례 이상 경고를 받았을 때 강제로 퇴거시키는 규정을 둔 곳이 많다. 독일은 법으로 지나치게 소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경우 최대 630만 원까지 과태료를 물린다.

국토부 권혁진 주택건설공급과장은 "층간 소음 문제는 설계에 대한 규제뿐 아니라 입주민들의 주거 생활이라는 부분에서 동시에 접근해야 해결할 수 있다""향후 층간 소음을 포함해 생활 소음을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을 시·도지사가 정하는 입주자 자체 규약에 반영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Comments..
 층간소음의 가장 큰 원인으로 아파트 구조에 초점을 두고 알아봤다. 층간소음의 해결책은 따로 없다. 위층에서 주의하지 않거나 또는 아래층에서 극도로 예민하게 반응한다면 아무리 기둥식 구조에 바닥을 두껍게 시공했다고 해도 문제가 될 것이다.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층간소음의 해결책을 내보려고 했는데 그냥 다 아는 해결책 밖에는 없다. 애초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벽식구조로 인하여 층간 소음이 더 크게 발생하지만 실내에서 실내화를 신는다던지 아니면 바닥매트를 깐다던지 등의 생활 속에서 추가적인 소음 저감 방법을 강구해 본다면 분명 층간소음을 줄일 수는 있다. 이 모든 것의 전제는 기본적으로 매너 있는 공동체 생활을 위한 배려가 있어야 함을 잊지 말자!

 

층간소음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자 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

층간소음 <<< 클 릭!

728x90
728x90

'지식 & 정보 > 유식 해보이는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의 날  (0) 2023.04.25
층간소음  (0) 2023.04.14
리젠티즘 (feat. 나에 대한 포스팅)  (0) 2023.03.14
결제 & 결재  (0) 2023.02.01
MBTI 성격 유형 검사  (0) 2023.01.20